미국에서 활동하는 패션 모델 로렌 바서가
2012년 생리 중 탐폰 사용으로 인해
독성 쇼크 증후군(TSS)으로 오른쪽 다리를 잃고,
7년 후에 왼쪽 다리도 잃었다는 보도가
이목을 끌고 있습니다.
이에 대해 전문가들은 TSS는 탐폰 자체보다
위생 문제와 관련이 있다는 공통된 의견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탐폰은 질 안에 삽입돼 생리혈을 흡수하는데,
이 섬유에 포도상구균이 서식할 수 있고,
체내형 생리대 특성상 질을 통해
균이 쉽게 유입될 수 있습니다.
TSS는 고열, 구토, 복통, 설사 등의 증상을 나타내며,
이러한 증상이 나타날 경우 탐폰을 즉시 제거하고
병원에서 치료를 받아야 합니다.
또한, 출산한 지 얼마 되지 않은 경우나
최근에 수술한 병력이 있는 경우,
피임기구를 이용한 경우, 포도상구균에 의한
감염 경험이 있는 경우
탐폰을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탐폰을 사용할 때에는 적정 사용 시간인
4~6시간을 지키고,
장시간 교체하기 어려울 때는 패드형 생리대를
사용하는 것이 좋으며,
수영할 때는 사용 후 즉시 교체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또한, 탐폰을 사용하기 전후로 손을 깨끗이 씻는 등
청결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로렌 바서의 사례를 통해, 탐폰 사용 시
주의해야 할 점을 다시 한번 상기시키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건강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녹차의 효능과 부작용 (0) | 2023.03.28 |
---|---|
뼈 건강에 좋은 운동 (0) | 2023.03.25 |
커피를 마시면 당뇨 위험 6% 감소. 왜일까? (0) | 2023.03.25 |
제철 쭈꾸미, 주꾸미가 몸에 좋은 이유 (0) | 2023.03.25 |
행복 호르몬 세로토닌에 대해 알아보자! (0) | 2023.03.24 |